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

아기 재접근기 증상 및 해결방법

by 맹토ㄹI 2025. 7. 12.
반응형

아기의 재접근기를 알고 계신가요?

아기가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능력이 함께 발달하는 시기로 보통 16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아기의 정서적 독립성과 애착이 충돌하면서 생기는 시기입니다.

정서적으로는 독립을하고싶은데, 엄마에 대한 애착은 더 높아져서 아주 힘들어지는 시기죠 

그래서 독립을 하려고 하다가 스스로의 감정이 불안정해 다시 엄마에게 가고싶어 엄창 많이 우는 시기입니다.

재접근기 증상

이전보다 엄마에게 더 집착하고, 계속 안길려고하고 떨어지지않을려고합니다.

엄마가 보이지않으면 엄마를 계속 찾고 울려고합니다. 낯가림이 심해지고 웁니다.

감정기복이 심해지고 작은 일에도 울려고하고 짜증도 엄청 많이냅니다.

하루에도 감정기복의 차이가 많이 납니다.

자기 주장이 심해지고 손을 뿌리치거나 싫어하거나 좋아하는 것에 대한 표현이 아주 명확해집니다.

원하는 것을 얻지못하면 소리를 치거나 바닥에 드러눕고합니다.

손가락을 계속 빨고 원래 하던 일을 못하겠다고 드러눕게됩니다.

혼자 잠들기가 무서워지고 잠을 자주깨고 악몽을 자주 꾸기때문에 울면서 일어나기도합니다.

떼쓰기, 감정기복과 독립성과 의존성 사이의 혼란과 강한 자기 주장이 있어서, 많이 삐치고

많이 소리를 치기도합니다. 안보이던 떼쓰기가 보이기 시작하면 부모님들도 당황하게되지만 

아기에게는 빠질 수 없는 성장 과정이기때문에, 부모의 인내심이 아주 필요한 순간이죠 

 

아기의 분리와 개별화 단계가 있는데

1차로는 보통 6~10개월 엄마와 자기 자신을 구분하기 시작하고

10~16개월 사이에는 근처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 탐색하고싶어하고 궁금증이 많아지고

16~24개월 사이에 독립 욕구가 생기지만 금새 불안함을 느껴 엄마에게 다시 접근하고싶어합니다.

24개월 이후에는 정서적으로 독립이 가능해지기때문에, 떼쓰기가 조금 줄어들게됩니다.

보통 16~18개월에 가장 많이 나타나고 19개월부터 정상적으로 돌아오는 케이스가 가장 많습니다.

재접근기 해결 방법

떼를 쓰고 운다고 화를 내거나 모른척을하시면 안됩니다.

아기의 뇌는 만3세 이전까지 형성되는 것이 성인이 되어서까지 영향을 끼칠 정도로 아주 중요한 시기입니다.

감정에 공감해주고, 말을 많이 건내주셔야합니다.

"엄마가 많이 보고싶었어?", "엄마가 없어서 힘들었구나"등등 많은 말을 해주셔야합니다.

일관성 있는 규칙이 있어야합니다.

모든 것을 다 받아주시는 것도 안됩니다.

떼를쓰거나하면 무엇을 먼저해야하는지 말로 설명을하고 단호할땐 단호한 모습을 보여주어야하며

그 모습이 일관성이 있어야지 아이도 예측이 가능한 환경에서 안정감을 느끼게됩니다.

무엇이 먹고싶은지 혹은 무엇을 입고싶은지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물어봐주고 대화를 많이 해주세요

함께있는 시간에는 많이 스킨십을해주고 함께 놀아주고 눈도 자주 맞춰주면서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는게 좋습니다.

아기 재접근기 시기에는 수면루틴이 깨지기 쉽지만, 그래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을하며

수면 루틴을 계속 유지해주시길 바랍니다.

부모가 가져야할 태도

아기 재접근기의 모습을 보면 정말로 멘탈이 탈탈 털릴 수 밖에 없습니다.

내가 아이라면 어떻게했을까 라며 입장을 한번 더 이해하기 위해서 노력해보고

아이가 운다고해서 화를 내거나 하시는 것보다는 심호흡과 명상으로 차분함을 유지하시고

스트레스를 관리해야하기때문에, 휴식을 취하거나 운동을하거나 자신의 스트레스법을 알아야합니다. 

그리고 저만의 꿀팁이라면 작은 군것질 거리들을 집안에 놔두세요

사람이라는게 배가 조금이라도 고파오면 당이 떨어지면 화가 쉽게나더라구요

잔잔한 노래를 항상 틀어주고, 화가난다 싶을때 과자라도 먹으면 생각보다 쉽게 화가 사그라듭니다.

아이의 성장에 피할 수 없은 아기 재접근기 

증상과 해결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정말정말 힘듭니다

신생아 시기가 다시 왔나 싶을정도로 정신도 체력적으로도 힘들지만 모두가 겪는 일이고,

어떻게 보내든 지나가는 시간이기때문에 좀 더 건강하고 아이에게 좋은 시간을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